연구사업

2016년도 시간강사연구지원사업 (책임: 엄성원 교수, 2016~2017)

작성자
hcrc
작성일
2017-08-29 11:32
조회
173

연구사업

2016년도 시간강사연구지원사업

연구과제

플립 러닝을 활용한 대학 국어 글쓰기 교육의 표준화 방안 - 동료 첨삭의 방식을 중심으로

연구기간

1년 (2016.9-2017.8)

연구요약

1. 연구 목표

①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국어 글쓰기 수업의 새로운 교육 방식 중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의 실제적인 수업 모형을 표준화하여 구체화시키고, 이것이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특히 이 연구는 실제 플립 러닝 글쓰기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피드백의 여러 방식 중에서 ‘동료 첨삭’의 체계적인 모형을 구현하는 데에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② ‘거꾸로 교육’ 혹은 ‘뒤집어진 학습’ 등으로 번역되는 ‘플립 러닝’은 교육자에 의해 주입식으로 진행되어 왔던 기존의 교육 방식을 거꾸로 뒤집어 학습의 성과를 극대화하는 역설적인 교수법을 지칭한다. 학습자들은 강의실에서의 오프라인 수업 이전에 미리 준비된 온라인 동영상 강의나 각종 자료들을 통해 배경이나 이론을 미리 학습한다. 이렇게 사전에 능동적이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강의실에서의 오프라인 수업을 통해 다른 학생들과 교류하고 소통하면서 오류를 수정하거나 학습 내용을 더욱 심화할 수 있다.

③ 그런데 이러한 교육 방식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교육자에 의한 피드백뿐만 아니라 수강생들 상호간의 피드백도 매우 중요한 위상을 차지한다. 이 교수법은 교수자의 일방적인 지식 전달과 수강생들의 무조건적인 지식 수용을 거부하기 때문이다.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학생들의 참여와 상호작용을 통해 비판성과 창의성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이 교수법은 동료 첨삭의 방식을 정교하게 설정하여 실행하지 않으면 핵심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될 것이 분명하다. 이 연구에서는 플립 러닝 글쓰기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피드백의 방식 중에서 ‘동료 첨삭’ 모형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2. 연구 요약

① ‘플립 러닝’을 대학 국어 글쓰기 교육에 적용시켜 보자면 글쓰기에 관한 배경이나 이론적인 측면은 ‘수업 전 학습’에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선행 학습한 이후에 ‘수업 중 학습’ 시간에는 토론·발표·첨삭 등의 다양한 상호 작용을 통하여 학습자들 스스로 글쓰기 실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말한다.

② 이때 동료 첨삭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1차 동료 피드백 : PPT를 활용한 개요 발표를 2인 1조로 수업 시간 중에 진행하여 수강생 전원의 1차 동료 피드백 과정 이수(‘상-중-하’ 3단계 평가 및 자유로운 지면 서술형 평가) 2차 동료 피드백 : 일차로 작성된 초고를 수업 시간 중에 6인 1개조인 토론조에서 발표하여 2차 동료 피드백 과정 이수(‘매우 잘함-잘함-보통-못함-매우 못함’의 항목별 5단계 평가 및 구술 의견 제시) 3차 교수 피드백 : 수정된 원고를 수업 이후 교수자가 지면 첨삭 피드백 과정 이수.

③ 그리고 7개 항목 5단계 평가로 이루어지는 동료 첨삭의 지침은 다음과 같다. 기본적인 필력이 존재하는가? - 글을 이끌어 나아가는 질적 양적 능력 확인. 서론에서 주장이나 논점이 명확하게 제시되었는가? - 글의 방향 확인. 단락이 정확하게 구분되었는가? - 논리적 구성력 확보 여부 확인. 구체적인 사례가 제시되었는가? - 관심 및 흥미 유발 여부 확인. 정확하고 풍부한 근거가 제시되었는가? - 주장의 설득력 제고 여부 확인. 창의적이고 현실적 대안이 제시되었는가? - 허망한 논리 배제 여부 확인. 결론의 마무리가 철저한가? - 균제미 확보 여부 확인.

3. 연구 의의

① 이 연구를 통해 아직 정립이 되지 않은 플립 러닝 교육 모델에 대한 연구를 확산 시킬 수 있다. 특히 자기주도적 학습 및 교육 연구 분야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② 대학 국어 글쓰기 분야의 플립 러닝 교수법을 통해 효과적인 국어 읽기와 쓰기 교수법을 공유할 수 있다.

③ 이 연구를 통해 플립 러닝 운용 시 동료 피드백의 효과와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응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이는 글쓰기 교육에 있어서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